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

MCU - (3), 메모리 2

MCU의 동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데이터시트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메모리 맵이 있다. 일반적으로 책의 목차와 비슷하게 MCU 에는 메모리 맵이 있는데, 메모리 맵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MCU를 구성하는 기능들을 알아보거나, 그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할 때 메모리 맵을 보면 된다. 메모리 맵을 통해서 예를 들면 각 기능이 위치하고 있는 주소나 얼마만큼의 용량을 차지하는 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메모리 맵의 종류에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필요한 메모리 맵도 있다. 이는 대부분 내부 메모리(SRAM)을 사용 목적에 따라 나누어 놓고 설계를 하는데, 소프트웨어적인 메모리 맵은 스택 메모리나 힙 메..

전자공학 2024.06.27

RTOS에 대해

실시간 운영체제(RTOS)는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서 개발이 된 운영체제이다. 운영체제의 기능 중 CPU 시간 관리 부분에 집중되어 설계되었다. 실시간 운영체제는 프로그래머가 프로세스 우선순위에 더 많은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우선순위가 시스템 프로그램보다 우선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시스템 코드의 임계 구역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 요청을 정해진 시간 안에 처리해 줄 수 있다. 실시간 운영체제의 핵심은 응용 프로그램 테스트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정도에 있다. 처리 시간의 변동의 폭을 Jitter라고 부른다. 경성(hard) 실시간 운영체제와 연성(soft) 실시간 운영체제로 구분할 수 있고, 전자가 후자에 비해질 터가 적다. R..

전자공학 2024.06.19

MCU - (2), 메모리

기본적으로 MCU는 처리해야 할 데이터와 프로그램 데이터가 모두 메모리에 담겨 있는데 ROM과  RAM이 있고, 또는 휘발성 비휘발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휘발성과 비휘발성은 모두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읽고/저장하는 기능 면에서는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일 때 데이터 및 프로그램과 같은 자료들이 지워지는지 아니면 계속 보존할 수 있는 지의 차이가 있다. 일반 모바일 폰을 예로 들면 새로 산 핸드폰은 배터리가 빠져있으므로 사용하려면 일단 배터리를 끼운 후 전원을 켜야 한다. 이제 전원이 켜지면 MCU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화면도 띄우고 소리를 내는 등의 동작을 한다. 이때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모두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불러온다. 만약 이 프로그램들을 비휘발성 메..

전자공학 2024.06.19

MCU

주변에는 많은 전자 기기를 볼 수 있는데, 이런 전자 기기는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핵심은 프로세서이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하드웨어로, MCU, CPU, DSP 등의 이름을 가진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서가 MCU(Micro Control Unit)이다.  보통 MCU를 이야기할 때 임베디드 시스템의 두뇌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두뇌는 우리의 몸을 걷거나 뛰게 만들고 생각을 통하여 복잡한 문제를 풀 수 있게 하는데 MCU 또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연산하는 등 시스템에서 두뇌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그렇지만 MCU를 두뇌로 생각하고 시스템을 이해하려 할 때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전자제품의 하나의 예를 들면 어떠한 제품의 케이스를 열었을 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PC..

전자공학 2024.06.19

리눅스에 대해

리눅스 운영체제는 1991년 9월 17일 Linus Torvalds에 의해 시작되었다. 운영 체제 커널을 리눅스 커널이라고 하며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이다. 처음에는 콘솔 터미널 형태로 작동하였다. 그 이후 현재 리눅스 배포판의 커널 단에는 리눅스 커널이 사용되고 있고, GNOME과 KDE등의 GUI 시스템 및 반도체가 H/W Driver가 추가되기 위해 시작한다. 2023년 1월 Linux에서 Windows 앱을 직접 실행해 주는 Wine이 버전 8.0으로 호환성과 성능이 크게 개선되게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DLL 계층이 복잡한 Windows Utility와 게임을 설치 관리해 주는 Wine 기반의 Bottles가 등장하면서 리눅스에서 Windows 앱 직접 실행이 매우 편리해졌다. 배포판에는 리눅스..

전자공학 2024.03.09

납땜

개요 전자회로나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가장 초보적인 단계는 납땜(soldering)이라고 할 수 있다. 납땜 작업은 매우 단순한 작업이지만 그 중요성은 어느 과정보다도 크다. 그것은 납땜 기술에 의해 회로의 신뢰성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회로가 구성되려면 소자와 소자가 연결되고 전원이나 접지 등이 물리적으로나 전기적으로 정확히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납땜 지역의 내부 연결 상태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납땜 작업이 미숙하면 기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오동작을 일으키며, 내구성도 현저히 떨어진다. 즉, 납땜 작업은 단순히 회로의 연결뿐만 아니라 소자를 견고하게 묶어주어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에 크게 기여한다. 그러므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 가장 중요한 일임을 명심하고 완벽한 납땜 방법을..

전자공학 2024.03.01

실험, 실습의 개요 - (2)

3. 실험실에서 가기 취급상의 유의 사항 ① 실험실에서는 항상 정숙해야 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② 각종 도구나 측정기 등은 수분에 매우 약하므로 음료수 등을 실험실에 반입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③ 각종 기계 · 기구 등은 항상 정리된 상태에서 이용해야 한다. ④ 전자 계측기 등은 충격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조심하여 다루어야 한다. ⑤ 강한 전기가 흐르는 선로 등에 유의하여 감전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⑥ 배선이나 계측 단자는 가능한 한 간결하게 하여 단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고 단락에 의한 계측기의 손상에 주의해야 한다. ⑦ 실험을 중지했을 때는 항상 전원 스위치를 개방하여 소자를 보호하고 기기의 단락 현상을 방지한다. ⑧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원의 종류에 맞추어 계측기를 선택하..

전자공학 2024.03.01

실험, 실습의 개요 - (1)

1. 실험 실습의 목적 공학은 자연현상을 우리의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적용하고 응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 과학 분야에서는 사물에 대한 직관이나 이론적인 정립도 중요하지만 배경을 현상적으로 증명하고 새로운 이론을 도출해 내는데 실험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자연과학을 이용하는 전자정보통신공학에서 실험과 실습의 중요성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실험이란 관찰하려는 사실에 대해 일정한 작업 과정을 정하여 여러 가지 조건을 주어 가면서 발생하는 결과로부터 어떤 법칙성을 만들어내는 것이며, 이 과정은 보통 여러 차례 반복하여 부정확성을 줄이고 모든 의구심을 제거해 나간다. 한편, 실습이란 학습 과정에서 각종 기술을 직접 경험을 통해 습득하기 위해 실시하는 실제의 작업 과정으로서 실습실에서 현장의 조..

전자공학 2024.03.01

BJT 증폭기

전압 전류 이외에도 전항은 직류의 관점과 달리 교류의 관점에서 해석하면 흔히 다른 값을 갖는다. 따라서 교류 저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소문자 아래 첨자를 이용한다. 선형 증폭기는 신호가 찌그러짐 없이 증폭되어야 한다. 따라서 출력 신호는 마치 입력 신호가 복제된 듯이 증폭된다. 베이스 및 컬렉터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변동하지 않는다. 커패시터는 신호 전압에 대하여 이상적으로는 완전 단락이 된다. 정현파 신호 전압은 직류 바이어스 레벨을 중심으로 상하로 변하며 입력인 베이스에 영향을 준다. 결과적으로 베 있는 전류는 변동하며, 트랜지스터의 전류 이득에 비례하여 컬렉터 전류는 크게 변동한다. 정현파인 컬렉터 전류가 증가하면 컬렉터 전압은 감소한다. 컬렉터 전류 위상은 베이스와 동상이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자공학 2024.02.11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에피택셜 플래너 구조로 되어 있고, 두 개의 pn 접합으로 나누어지는 세 개의 도핑된 반도체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 영역을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라고 한다. 두 가지 물리적인 형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하나의 형태는 이미터가 n형, 베이스가 p형, 컬렉터가 n형으로 되어 있는 NPN 트랜지스터이고, 다른 하나는 PNP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PNP 트랜지스터이다. 바이폴라라는 용어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반송 자로서 전공과 전자 두 개가 모두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 영역과 이미터 영역을 결합하는 pn 접합을 베이스-이미터 접합이라 하고, 베이스 영역과 컬렉터 영역을 결합하는 pn 접합을 베이스-컬렉터 접합이라고 한다. 리드선이 세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양..

전자공학 2024.02.11
반응형